
HCI 개론: The UX Paradigm Shift
HCI 칼리지 멤버십 프로그램의 시그니처 과목. 유수의 기업 현업자들이 학습하는 UX 분야의 유일무이 과목!
예약 가능
서비스 내용
📌 과목 개요 ㆍ 최근 AI 기술이 적용된 프로덕트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프로덕트에 비해 동적이고 맥락 중심적인 UX 설계와 디자인이 중요해지면서, 현업에서 UX와 관련이 있는 직군에 논리적이고 사용자 중심의 프로덕트 기획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사용자 중심의 사고(user-centered thinking)와 더불어 AI 중심의 전략(AI-centered strategy)을 함께 고민하는 UX 디자인이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ㆍ HCI (Human-Computer Interaction)는 제품과 서비스를 디자인 하는 모두에게 UX 디자인을 위한 디지털 기술의 응용 원리를 학습하는 분야다. HCI 학습을 통해 디지털 제품 및 서비스의 UX 설계와 디자인에 필요한 인간의 행동, 인지심리적 요소를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ㆍ 본 과목에서는 HCI 기초 지식을 습득하고, AI 등 최신 기술 분야에서 중요한 차세대 UX인 동반자 경험(Companoid Experience)을 제공하는 프로덕트를 팀 단위로 기획, 설계, 디자인한다. 문제 정의와 구체적인 프로덕트 UX 설계 과정에서 중요한 유저 리서치 방법을 개괄적으로 다룬다. 이를 통해, 문제 정의와 사용자 근거 획득, 최신 기술(AI 등)을 활용한 프로덕트의 기획과 설계를 하는 정석적 프로세스를 팀 프로젝트로 체화한다. ㆍ 본 과목은 기본적으로 최신 디지털 기술에 관심이 많은 직무자 및 학생들이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 가치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탐구하기를 기대한다. 왜냐하면 결국 AI를 비롯해 대부분의 혁신 기술은 디지털 프로덕트를 통해 사용자에게 유용한 새로운 경험 가치 제공함으로서 그 가치가 인정되기 때문이다. 스마트폰, 소셜 미디어, 이메일, 인스턴트 메신저 등은 20여 년 전에는 주류가 아니었던 프로덕트들이다. ㆍ 특히, AI 기술은 HCI 분야에서 사용자와의 능동적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경험 가치 제공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즉, 새로운 사용자 경험 디자인(User Experience Design)이 요구될 수 밖에 없는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우리는 앞으로 디지털 제품 및 서비스가 '지능(intelligence)'을 갖게 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 수강 대상 ㆍ HCI 분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UX 디자인을 하고자 하는 모든 이 ㆍ 디지털 프로덕트 개발에 고민인 (예비) 창업자 ㆍ UX 관련 직무 현업자 (PO, PM, UX 리서처, UI 디자이너, 기획자, 개발자 등) 및 학생 ❤️ 과목 목표 ㆍ HCI 분야 기본 개념과 방법론 학습 ㆍ 사용자 중심 문제 정의 및 해결 능력 향상 ㆍ 팀 프로젝트로 실제 UX 설계 경험 제공 ㆍ 논문 작성 또는 사업화 가능한 프로덕트 기획 능력 개발 ㆍ 차세대 UX 설계를 위한 동반자 경험 프레임워크 학습 ✨ 과목 난이도 ㆍ 대학교 4학년 - 주니어 디자이너 3년차 수준 ㆍ 일부 대학원 수준 내용 포함 ㆍ 영어 스킬: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수준 ✏️ 과목 운영 방식 1. 참여형 강의 ㆍ HCI 이론 강의(1, 2, 3주차) ㆍ 플립러닝 방식 학생 주도 발표(4-9주차) ㆍ 교재 섹션 발표 및 관련 문헌, 케이스 추가 탐색 2. 팀 프로젝트 활동 ㆍ Academy Track과 Industry Track으로 팀 의사결정 하에 진행 ㆍ 3주차부터 트랙 결정 및 프로젝트 진행 ㆍ 7주차부터 팀 프로젝트 발표 및 크리틱 3. Track 세분화 맞춤형 결과물 ㆍ Academy Track: UX 리서치, 논문 드래프트 ㆍ Industry Track: 프로덕트 결과물, IR Deck ※ 프로젝트는 DF³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진행됨(실라부스 참고) 📝 평가 비율 및 방법 ㆍ 수업 출석: 50% (개인) ㆍ 수업 퀴즈: 10% (개인) ㆍ 피어 리뷰: 15% (팀원 간 상호 평가) ㆍ 최종 프로젝트 발표: 25% (심사위원 평가, 팀 프로젝트 상호 평가) 📐 평가 기준: 1. 프로젝트 주제 참신성 2. 문제 정의 체계성 3. 핵심 UX 도출 논리성 4. Academy Track: HCI 리서치 과정 구체성 / Industry Track: UX/비즈니스 차원 신규성 5. Academy Track: HCI 리서치 현장 적용 가능성 / Industry Track: 기존 프로덕트와 UX 차별성 ㆍ 팀원 간 상호 평가: 팀 내 공헌도에 따라 배분 (본인 제외 10점) ㆍ 최종 발표회: 발표 15분, Q&A 15분 📖 교재 및 참고 문헌 ㆍ 주교재: [김진우 저] Human Computer Interaction 개론(2nd or 3rd Edition) 📜 상세 실라부스: https://bit.ly/hcic-2425-2-hcii 💳 등록비: 140만원(VAT 별도, 12개월 할부 시 월 125,000원) 👥 정원: 60명(최소 인원 10명)
연락처 정보
cit@companoid.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