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CI, 사용자에 대한 이해의 출발점
CIT
WROTE THIS POST.
SUMMARY
CIT가 HCI 칼리지 박세진 님을 인터뷰 했습니다. 그녀는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학습, 실제 프로젝트 경험, 전문가 피드백이 주요 장점이라 설명했습니다. 현업에서 프로젝트 관리자로서 UX 이해의 중요성을 깨달은 점은 큰 수확이라 밝혔습니다.
- 생물정보학 출신, 그리고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로서의 UX
TALK INFO
인터뷰 대상자: HCI 칼리지 제1기 박세진 님
인터뷰 일시: 2022. 08. 25. 목요일
인터뷰 장소: Companoid Labs HQ
인터뷰 형태: 대면
HIGHLIGHT
학업 및 직업 배경
현재 업무 소개
사용자 경험에 대한 학습 필요성
기존 온라인 강의와의 차이점
최신 트렌드와 이론적 배경 학습
대학원 수준의 깊이 있는 학습
멘토링 및 피드백 시스템
실제 프로젝트 경험(꿀잠이 프로젝트)
체계적인 학습과 압축적 경험
일과 학업 병행의 어려움
데이터 분석 부분에 대한 고민
산업 트렌드와 수요 증가
다양한 직군에서의 UX 지식의 필요성
프로젝트 관리에서의 UX 중요성
의사결정자로서의 UX 이해의 필요성

식품영양학을 전공하고 바이오 분야의 전문가였던 세진님(HCI 마스터 클래스, HCI 칼리지 1기, 1ㆍ2학기 이수)은 생물정보학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데이터를 다루게 됩니다. 그녀는 "현업에서 데이터를 다루는 직군으로 전환하여 일했고, 심지어 데이터 컨설팅 회사에서 데이터 분석을 주로 하는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로 일했습니다." 라며 자신의 커리어를 소개했습니다.
이질적인 커리어 패스를 밟고 있던 세진님은 약 2년 전 이직한 팀에서 다양한 디지털 프로덕트를 기획하고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팀을 이끌며 데이터가 근거가 되어 실제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프로덕 트를 만들어야 하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무엇보다 HCI 칼리지를 선택한 이유가 바로 이러한 상황에 있기도 했습니다. 그녀는 "데이터 분석을 오랜기간 했지만, 실제 UX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상태에서 인사이트를 추출하거나 분석 관점의 다양성을 가져가기란 어려웠어요. 그래서 UX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학습이 필수적이었습니다." 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다양한 강의들도 있고 대학원이라는 선택지도 있었겠지만, 현업자로서의 역할을 다하며 깊이를 가져갈 수 있는 대안이 없을까를 고민했다며 HCI 칼리지를 선택한 이유를 밝혔습니다.
"다른 곳에서 들었던 수업들도 좋긴 했지만, 결국 스스로 의지를 갖고 수업을 듣고 내 것으로 체화하는데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그리고 실질적인 팀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고 교수님과 함께 고민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
그녀는 HCI 칼리지를 통해 이론적 지식이 생기고, 동시에 현업에서 어떻게 수행해야 할 지 팀 프로젝트를 통해 적용해보고 검증하는 과정을 겪어보고, 또 최근 트렌드에 맞게 학습하면서 수 년간의 현업 경험을 압축적으로 할 수 있어서 좋았다고 이야기 합니다. UI 디자이너가 기획자가 아니라 창업자도 반드시 알아야 할 UX라고 이야기 하는 그녀의 미래를 기대해 봅니다. 그럼, 유영재 파트너가 인터뷰한 박세진 님의 이야기를 한번 살펴보시죠.
유영재: 그러면 이제 인터뷰를 시작해볼게요. 저희야 이미 알고 있지만 간단하게 자기소개를 몇 가지 키워드로 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박세진: 안녕하세요. 저는 HCI 마스터 클래스에 참여했던 박세진입니다. 저는 원래 식품영양학과에서 미생물 분야를 전공했는데, 대학원 과정 중에 생 물정보학 쪽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실제 현업에서는 데이터를 다루는 직군으로 직업을 바꿔서 시작했습니다.
이전 회사에서는 데이터 컨설팅 회사에서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업무를 맡았어요. 그러다가 코로나 시기에 바이오 회사로 이직을 했습니다. 지금은 다양한 디지털 프로덕트를 기획하고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팀에 속해 있어요. 그래서 어떻게 보면 이전에 다루던 백엔드 원천 데이터보다는 사용자 경험에 좀 더 가까운 프론트 데이터와 디지털 프로덕트를 다루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유영재: 그러면 HCI 마스터 클래스를 선택하시게 된 이유가 무엇일지 궁금해요. 아무래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시자면,... 다른 클래스도 많이 있잖아요.
박세진: 실제로 이 사용자 경험에 대한 인사이트라든지 그런 데이터나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훈련이 내가 부족하다는 걸 많이 느꼈어요. 그리고 상사분은 이제 오래 이런 디지털 프로덕트 기획을 해오신 분인데, 실제로 그것은 회사에서 배울 수 있는 게 아니라고 말씀하시더라고요. 그래서 회사에서 집중해서 좀 배우다가, 요즘은 이런 직무 교육 같은 게 많이 있으니까 뭔가 있지 않을까 하고 열심히 찾아봤어요.
동영상 수업 같은 것도 많이 들어보고 짧은 클래스도 들어봤는데, 딱 보니까 한 10몇 주 정도 되는 과정이 있더라고요. 대학원을 지금 딱 가기는 조금 애매하기도 하고 (그렇죠), 깊이 있게 배워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다음에 이런 것들을 실제 현실적인 경험과 이론적인 배경을 균형 있게 배우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어요. 그래서 선택하게 됐습니다. 사실 뭘 배우게 될지는 정확히 모르고 선택했던 것 같아요.
유영재: 그게 이제 포인트가 약간 좀 긴 시간, 그다음에 수강 내용을 봤을 때 뭔가 깊이가 있는 그런 것들이 이제 조금 들어오셨다는 말씀이시죠?
박세진: 네, 그전에 들었던 수업들은 좀 더 스킬에 가까운 수업들이었던 것 같아요.
유영재: 혹시 이전에 어떤 플랫폼, 보통 패스트캠퍼스, 클래스101 이런 걸로 들으셨나요?
박세진: 네, 그로스 해킹 관련 수업도 좀 들어봤었고, 그다음에 러닝스푼즈 같은 곳에서도 들어봤어요.
유영재: 이미 그전에 그런 비슷한 걸 몇 번이나 들으셨었네요.
박세진: 네, 그걸 제가 혼자서 듣고 공부하려고 했는데, 좋은 수업들도 굉장히 경험이 좋긴 했지만 그게 체화되기에는 조금 긴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제가 뭔가 액티비티를 할 수 있는 (그렇죠, 좀 더 실질적인 프로젝트나 이런 베이스로 해서) 기회가 필요했어요. 기존의 수업들은 동영상 수업을 듣는다든가 아니면 토론 정도의 시스템은 있었지만, 그걸 업무처럼 체화할 수 있는 프로젝트 단위 수업은 여기에서 처음 들은 거예요.
유영재: 그러면 이제 딱 들으실 때 기대하는 바가 있다면 어떤 것들이 좀 있었을까요?
박세진: 그 때는 일단 사용자 경험과 관련된 분야가 어떤 키워드들을 가지고 있는지, 그다음에 제가 책을 볼 수 있지만 그중에 옛날 얘기는 뭐고 지금 현재 트렌드는 뭔지 구분할 수가 없었거든요. 그래서 전문가 분들한테 그런 것들을 좀 들을 수 있겠다고 생각했어요. 최신 트렌드와 거기에 원래 깔려 있는 기본적인 지식들을 균형 있게 들을 수 있겠다는 기대가 있었고, 좀 대학원 수업 같은 수업을 듣고 싶었어요.
유영재: 그렇죠, 그렇죠. 약간 저희가 어쨌든 표방하는 게 그런 느낌이 있으니까. 그러니까 대학원 수업이라고 하면 약간 학부 수업이나 아니면 다른 보통 밖에서 하는 VOD 기반의 그런 서비스랑 뭐가 좀 다른 게 뭔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