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선택한 강좌는 더는 예약이 불가능합니다.

온라인 서비스 가능

HCI 분야를 심도 깊게 다루고 연구 방법론을 바탕으로 프로토타입 실험을 통해 논리적인 UX 디자인 결과물을 도출하는 과목!

종료됨
1,650,000 대한민국 원
CIT

서비스 내용

📌 과목 개요 ㆍ 스마트폰 시대는 이동성과 다양성 측면에서 사용자 컨텍스트가 복잡해지면서 정교한 UX 디자인이 필수적이었다. 사용자들은 일상의 모든 컨텍스트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고 원하는 경험을 추구하는 행동 양식을 갖게 되었다. ㆍ 2024년에는 ChatGPT와 Claude 중심의 LLM 발전으로 AI와의 새로운 상호작용 방식이 현실화되었다. Computer Use와 같은 AI Agent와의 상호작용은 새로운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요구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 기반 제품은 PC, 스마트폰 등 다양한 폼팩터로 제공되며, Tesla의 자동차가 거대한 움직이는 스마트폰 폼팩터로 불리듯 새로운 상호작용에 대한 UX 디자인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ㆍ HCI는 이러한 상호작용 디자인의 원리를 이해하고 분석, 설계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분야다. AI Agent와의 대화형 상호작용, Physical AI로 대표되는 Robot과의 물리적 상호작용 등에 대한 UX 디자이너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과목은 HCI 기본 내용을 학습하되, 필수적인 방법론 위주로 학습하고 팀 프로젝트를 통해 이를 체화한다. 😊 수강 대상 ㆍ HCI 리서치 방법론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가치 있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 창출에 관심 있는 모든 사람이 대상이다. 특히 사용자에게 최적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제품이나 서비스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HCI 분야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ㆍ UX 분야 관련 직무자나 PO, PM, UX 리서처, UX 디자이너, UI 디자이너, 기획자, 개발자 등 현업자를 위한 과정이며, HCI 칼리지 멤버십에 합류한 이상 일정한 퍼포먼스를 요구하는 팀 협업이 필수적이다. ❤️ 과목 목표 ㆍ HCI 디자인 방법론은 케이스 스터디, 인터뷰, 설문조사, 실험 등 4가지 핵심 방법론을 다룬다. 이는 HCI 및 UX 분야에서 학계나 현업을 막론하고 반드시 알아야 할 기초 방법론이자 지식이다. 특히 자료 탐색, 데이터 수집, 분석을 통한 근거 기반의 프로덕트 기획과 설계 과정은 다양한 직군에서 요구되고 있다. ㆍ Academy Track과 Industry Track으로 나누어 진행하며, 각각 논문 출판과 MVP 개발을 목표로 한다. Industry Track의 경우 컴패노이드 랩스의 Angle Studio 프로그램 우선 선발 혜택이 제공된다. ✨ 과목 난이도 ㆍ 대학교 4학년부터 시니어 디자이너 9년차 수준이며, 일부 대학원 과정 내용을 포함한다. 영어로 된 자료를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 요구된다. ✏️ 과목 운영 방식 1. 프로젝트 중심 강의: 2주간 HCI 기초 개론 후 3-11주차까지 방법론 수업 진행. 플립러닝 방식으로 팀이 미리 제시된 원서를 중심으로 발표를 준비하고, 교수가 보완 설명을 제공한다. 발표자료는 매주 수요일 오후 12시까지 Google Classroom을 통해 제출해야 한다. 2. 트랙별 팀 활동: 3주차부터 최종 트랙 결정 후 팀 프로젝트 진행. 8주차부터는 팀 프로젝트 발표와 크리틱 시간이 배정된다. 오리엔테이션 데이 및 2주차까지 밍글링 시간이 제공되며, 자기소개서는 향후 추천서 작성과 alumni 활동의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3. Track 세분화: Academic Track(논문 드래프트)과 Industry Track(프로덕트 기획서) 중 선택. 12주간의 프로젝트 기간 동안 워킹 프로토타입 이상의 결과물을 만들되, 특징적인 UX가 엣지있게 드러나도록 해야 한다. 📝 평가 비율 및 방법 ㆍ 수업 출석 50% (개인) ㆍ 수업 퀴즈 10% (개인) ㆍ 피어 리뷰 15% (팀원 간 상호 평가) ㆍ 최종 프로젝트 발표 25% (심사위원 평가, 팀 프로젝트 상호 평가) 평가는 주제의 참신성, 문제 정의의 체계성, 핵심 UX 도출의 논리성을 공통으로 평가하며, 트랙별로 Academy Track은 HCI 관점의 리서치 과정 구체성과 현장 적용 가능성을, Industry Track은 UX/비즈니스 차원의 신규성과 차별성을 평가한다. 팀원 간 상호 평가는 본인을 제외한 팀원들에게 10점을 배분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교재 및 참고 문헌 ㆍ 주교재: -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Berg) -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Designs (D Geneva) - Survey Methodology (GROVES) - 모두를 위한 서베이 방법론 (장진규, PDF) - 구조방정식 매뉴얼 (장진규, PDF) ㆍ부교재: - Human Computer Interaction 개론(2nd Edition, 김진우) 📑 상세 실라버스: https://bit.ly/hcic-2425-1-hdme 💳 등록비: 150만원(VAT 별도, 12개월 할부 시 월 125,000원) / HCI 칼리지 멤버십 25% 할인(별도 코드 메일 발송) / 스타트업 20인 이하 재직자 - 재직증명서를 메일(cit@companoid.io)로 제출


취소 정책

CIT의 환불 정책은 다음 URL에 명시된 내용을 따르고 있습니다. ㆍURL: https://www.companoid.io/cit/refund-policy ㆍ개인정보 및 환불정책 관리자: 박민아(cit@companoid.io)


연락처 정보


bottom of page